전체 글 (169)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국 만두 종류 : 자오쯔, 바오쯔 , 샤오롱바오 등등 중국 만두란? 중국은 만두를 제일 많이 먹는 민족이다. 그래서 중국은 다양한 종류의 만두가 있다. 중국에서 만두는 속에 아무것도 없는 것을 만두라고 부르고 찐빵이랑 같이 판다. 중국의 만두가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고 한국에도 영향을 주어서 길거리 만두의 원형은 중국 만두에서 영향받았다. 중국 만두 종류▶ 자오쯔=교자(餃子): 가장 기본적이고 대중적인 형태의 만두로, 반달 모양의 얇은 만두피에 돼지고기, 양배추, 부추 등을 넣는다. 물에 삶거나, 찌거나, 기름에 살짝 구운 형태(궈티에, 鍋貼)도 유명하다. 중국 설날(대략 1~2월경)에는 재물과 행운을 상징하며 필수적으로 먹는 음식이다. ▶ 바오즈(包子): ‘쌀 포(包)’자에 ‘아들 자(子)’를 써서 ‘싸서 만든 것’이라는 뜻으로, 얇은 피 대신 푹신.. 파스타 면 종류 / 이탈리아 정통 파스타 무엇이 다른가? 국수의 발달은 산업화의 진행과정과 관련이 깊다. 이탈리아의 산업과정에서 파스타는 노동자의 음식으로 널리 퍼졌었다. 우리나라의 소면 또한 노동자들이 값싸게 한 끼를 해결하기 위한 노동자의 음식이었다. 파스타 어원 : 파스타(Pasta)는 무슨 뜻일까?파스타는 이탈리아의 대표 음식이지만, 그 단어의 뿌리는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pasta’라는 단어는 단순한 음식 이름이 아니라, 재료와 조리 방식에서 기원한 언어적 유산이다. 📜jangane.tistory.com 파스타 면 종류스파게티는 이탈리아 파스타 면 요리의 한 종류이다. 파스타면은 종류가 다양한데 무려 300여 종이 넘는 파스타면의 종류가 있다. 또한 면의 굵기와 넓이에 따라 다양한 롱 파스타, 쇼트 파스타로 나뉜다. 가느다란 파스타.. 칼국수 이야기 국수 한번 먹여줘옛날에 칼국수는 양반도 먹기 힘든 상당히 귀한 음식이었다. 한국에서 밀 재배가 되기는 했으나 생산량이 많지 않았다. 겨울밀을 심게 되면 다음해 7월에 수확을 해야하기 때문에 벼와 밀의 수확시기가 겹쳐서 밀을 포기하고 밀 대신 수확 시기가 겹치지 않는 벼를 심고 나서 보리를 심고 보리를 수확했다. 그래서 결혼할때 '국수 한번 먹여줘' 라고 했던 말도 잔칫날에 먹을 수 있었던 귀한 음식이였기 때문이다. 또한 밀가루 수확시기가 여름이라 칼국수는 여름음식이고 얼음을 구할 수 있는 겨울에 먹는 음식이 냉면이다. 분식의 날 1969년 박정희가 분식의 날 시행했는데 쌀이 귀한 시절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 밥을 못팔게 했고 분식을 장려했다. 일명 무미일로 지정하고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 사이에.. 귀리 오트밀 종류 8가지 및 먹는 법 귀리 영양소 귀리는 영양소가 풍부하고 섬유질이 많아 건강에 매우 유익한 곡물이다. 오트밀은 귀리를 가공한 형태로, 간편하고 다양하게 섭취할 수 있다. 오트밀은 귀리를 가공한 식품으로, 건강식으로 널리 사랑받는 슈퍼푸드이다. 귀리는 단백질, 식이섬유,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하며, 식물성 단백질이 많은 대표적인 곡물이다. 특히 도정 귀리는 단백질 함량이 약 **25%**에 달하며, 지방산의 80%가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심장 건강에 이롭다. 귀리에 포함된 베타글루칸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당을 안정시키며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귀리의 식이섬유 함량은 백미의 약 19배로,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다이어트와 장 건강에 유리하다. 오트밀 종류오트밀은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 함바집이란 , 유래, "야, 오늘 점심 함바 가자!" "함바 밥이 최고지!" 건설 현장 근처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대화이다. 푸짐한 양과 저렴한 가격으로 유명한 함바집은 이제 건설 노동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인기 있는 식당이 된 것이다.함바집의 정의와 유래함바집은 건설현장 근로자들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임시 식당으로, 주로 건설 현장 근처에 설치되는 이동식 밥집이다. '함바'라는 단어는 일본어 '한바(はんば)'에서 유래된 것으로, '임시 작업장'이나 '현장 사무실'을 의미한다. 시간이 제한된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멀리 이동하지 않고 저렴한 가격에 빠르게 끼니를 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함바집만의 특별함이 있는가?함바집의 가장 큰 특징은 '양'이다. 일반 식당 반찬의 2~3배는 기본인 것이다. 돈가스는 접시.. 최초의 반도체는? D램이란? 최초의 반도체 그레이엄 벨이 1876년 전화를 처음 발명했다. 그것은 미 대륙을 하나로 연결한 신기술이었다. 당시 전화는 전선을 통해 소리 보이스 신호를 전달하는 유선 전화기였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음성 신호는 약해졌다. 그래서 중간 지점 우체국을 통해 신호를 증폭시켰다. 그러나 증폭기의 수명은 고작 1개월이었다. 그래서 우체국에서는 증폭기가 꺼져버리면 다른 살아있는 증폭기로 연결하는 것이 전화 교환수들의 일이었다. 그래서 전화를 발명한 뉴욕의 벨 연구소에서 두 번째 도전을 한다.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증폭기를 개발하게 된다. 1947년 쇼클리 팀은 최초의 반도체 '트랜지스터' 를 발명하게 된다.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원리는 모든 신호를 디지털 신호 1과 0 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이렇게 .. 동물원은 왜 생겼나? 동물원은 자연의 포로수용소라는 말이 있다. 제국주의 과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인공생태계를 그 안에 조성한 것으로 힘과 권력의 과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동물원이다. 심지어는 아시아인, 흑인, 폴리네시아인들도 가둬놓고 전시했었다. 동물원은 사실 굉장히 끔찍한 공간이다. 동물원은 가장 비교육적인 방식으로 동물을 대면하는 곳이다. 동물은 철장에 가둬서 저렇게 대해도 되는구나 라는 눈요기감으로 사용되는 곳으로 동물원에 간 아이들은 "동물원은 원래 이런 곳인가 보다" 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곳이다. 그래서 사파리같은 곳은 동물들이 사는 곳을 우리가 몰래 멀찌감치 떨어져서 엿보는 거기때문에 의미가 다르다. 문명화된 사회라면 동물원은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핫도그 , 콘 아이스크림 탄생 핫도그와 콘아이스크림은 엑스포때문에 생긴 간식이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 박람회가 굉장한 흥행을 거두었는데 박람회의 흥행으로 대기 줄도 엄청났고 땡볕에 사람들이 서서히 지쳐가자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게 없을까 하다가 핫도그라는 것을 만들게 되었다. 엑스포 기간 동안 길거리 음식으로 급부상한 것이 핫도그였다. 또 하나의 히트 제품으로 아이스크림 콘이 있었다. 세인트루이스 박람회 전까진 사람들은 컵 아이스크림만 먹었는데 컵이 없어서 아이스크림을 못 파는 일이 자꾸 발생했다. 그때 한 아이스크림 사장이 파리만 날리고 있는 옆집 와플을 이용해 보자고 생각했고 옆집 사장에게 와플을 콘처럼 만들어 나를 주면 자신이 아이스크림을 얹어져 팔겠다는 아이디어를 낸 것이다. 다 먹고 나면 과자를 먹는 즐거움도 있고 .. 이전 1 ··· 4 5 6 7 8 9 10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