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별 상식

토종닭이란? 영계는 맛이 없다?

반응형

외래종 육계

 

사실 우리나라에 토종닭은 없다. 토종닭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조선시대의 닭은 알을 적게 낳고 크기도 작은 닭이라 맛도 없다. 그래서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 닭은 도태되어 사라지게 되고 한국전쟁 이후 대규모로 외래종 닭을 들여온다. 지금 토종닭이라고 말하는 닭들은 육계의 종류이거나 잡종일 가능성이 크다.  

 

10호 닭
6호, 12호 닭

 

치킨 역사 (양념 치킨 창시자,시초)

 

치킨 역사 (양념 치킨 창시자,시초)

우리나라 치킨 전문점은 36000여개 이상이라고 한다. 또한 한국인이 하루에 먹는 닭의 수는 52만 마리로 축구장 9개에 해당한다. 인당 20마리 이상의 닭을 한해에 소비한다. 프랜차이즈 프라이드

jangane.tistory.com

 

어린닭이 맛있다는 말은 잘못된 것이다. 보통 영계라고 하는 어원은 '영' 이 아닌 '연' 이다. 연할 연, 계로 연계의 기준은 닭은 보통 3~4달 정도 자라야 한다. 봄에 태어난 닭이 100일 정도 지나면 복날에 이르게 되고 복날에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닭이 바로 연계인 것이다. 유럽, 미국에서는 우리나라에 비해 훨씬 크게 약 2.7kg 정도까지 키운다. 

 

영계의 어원

 

그래서 닭을 오래 키우려면 밀식 즉 단위 면적당 알맞은 양식량을 넘어 고밀도로 빈틈없이 키우는 것이 불가능하다. 닭을 크게 키우기 위해서는 넓은 사육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강하게 닭이 자란다. 그래서 닭이 더 맛있다. 

 

 

 

 

 

씨암탉 속설 : 사위가 오면 씨암탉 잡는 이유, 왕란이 좋다?

🐔 씨암탉을 잡아 사위를 대접한다는 옛말의 의미옛날에는 사위를 위해 씨암탉을 잡아 대접한다는 말이 전해 내려왔다. 이는 씨암탉이 귀한 존재였기 때문이다. 씨암탉은 알을 계속 낳기 위해

wissue.net

 

 

 

닭고기 누린내 제거 완벽 가이드 ~~

닭 요리를 준비하다 보면 고기에서 특유의 누린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 냄새는 요리의 풍미를 망칠 수 있어 미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닭 누린내를 효과적으로 없애는 방

products.wissue.net

 

반응형

'별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I, X-ray, CT , PET 검사 차이점  (2) 2024.12.18
교도소 출소 후 두부 먹는 이유  (2) 2024.12.17
링겔 (링거) 뺀후 통증원인  (1) 2024.12.15
함바집이란 , 유래,  (0) 2024.12.11
최초의 반도체는? D램이란?  (2) 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