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란?
ott의 뜻은 Over The Top의 약자로 전파나 케이블이 아닌 인터넷으로 영상콘텐츠를 제공하는 tv서비스를 말한다. 전세계적으로 현재까지는 넷플릭스가 1등이고 2022에 애플tv , 디즈니 tv가 들어온다.
K-콘텐츠의 매력
▷k-콘텐츠는 얼핏보면 단지 한국적인 이야기같지만 현재의 코로나 19, 난민등 지구촌 문제와 맞물려 시대적 보편성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표현 방식은 한국적이지만 메시지는 보편적인 이야기이다.
▷또한 직설적이고 솔직한 표현으로 공감대를 확보하고 있다.
▷한국드라마의 특징은 외국 드라마에 비해 컷 바뀌는 횟수도 많아 스피드한 전개와 극적인 반전으로 몰입도를 높여준다.
▷또한 이야기 완결의 방식이 아닌 다음 화를 기대하게 하는 승-전-결-기 의 절묘한 타이밍에 선보이는 절단 신공 끝맺음 방식 또한 K-콘텐츠의 강점이다.
오징어 게임 (Squid Game) 결말 해석 줄거리 리뷰( 오징어 게임 속 우리 사회 모습)
이제는 지옥에 밀려났지만 그래도 누적관객은 아직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오징어 게임이다. 94개국에서 1위를 기록하며 K-드라마의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긴 작품이다. 보고나면 우리나라서 왜
jangane.tistory.com
▷또한 전세계에서 환영을 받았던 작품을 보면 대부분 웹툰 기반으로 한 작품들이다. 조회수, 평점, 댓글 등 수요자들의 반응을 즉각 체크할 수가 있고 단편이나 에피소드가 아닌 스토리형 웹툰이 성행되면서 미리 시장의 반응을 검증해 위험 부담을 줄여 주는 것도 큰 장점이다.
최근 웹소설을 웹툰의 스토리로 사용하는 미디어믹스가 활발하다. 웹툰 시장의 성장 K-웹툰 또한 가장 영향력 있는 세계적 콘텐츠로 명성을 얻으며 웹툰 시장의 규모가 향후 100조 원이 넘어설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넷플릭스 수익분배 구조는?
최근 오징어 게임의 성공으로 한국의 K-콘텐츠 위상이 많이 높아졌다. 그러나 한쪽에서는 재주는 한국이 부리고 돈은 넷플릭스가 번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오징어 게임은 10년전
myvoice.wissue.net
K-콘텐츠 경쟁력의 비결은 무엇일까?
한국 컨텐츠의 경쟁력은 바로 가성비이다. 2021년 넷플릭스가 한국 컨텐츠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한것이 5500억원이다. 넷플릭스는 K-콘텐츠의 투자대비 가성비가 높다고 판단해서 투자를 하는 것이다. 한국의 제작비는 외국의 것에 비해 1/10 수준이다. 적은 제작비에도 더 많은 호응을 받은 한국드라마이기 때문에 사업자의 입장에서 한국 콘텐츠만큼 가성비 좋은 것은 없는 것이다.
오징어 게임 기록 및 신드롬
오징어 게임은 미국, 프랑스, 인도 등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94개국에서 1위를 한 작품으로 전무후무한 기록이다. 그러나 정작 한국에서는 잔혹성, 양극화, 선정성의 이유로 한국투자자에게 외면
wissue.net
오징어게임 2 줄거리 스포, 해외 보이콧 논란까지 ..
넷플릭스를 대표하는 글로벌 히트작 '오징어 게임'이 드디어 시즌 2로 돌아왔다. 시즌 1에서 성기훈의 충격적인 생존 이야기와 자본주의의 모순을 날카롭게 드러낸 이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products.wissue.net
'별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냥녀, 화냥년 뜻 유래 (0) | 2021.12.31 |
---|---|
조용필 돌아와요 부산항에 원곡 및 사연은? (0) | 2021.12.30 |
오징어 게임 기록 및 신드롬 (0) | 2021.11.29 |
콜럼버스의 달걀은 진실? 거짓? (Egg of Columbus) (0) | 2021.11.15 |
양귀비꽃 아편 중독에 대해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