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별 상식

화냥녀, 화냥년 뜻 유래

반응형

일반적인 화냥녀의 뜻은 행실이 좋지 못한 여자 , 서빙질하는 여자 라는 뜻이지만 화냥녀라는 말은 "환향녀"에서 유래된 말이다. 금의환향의 그 환향이다. 

 환향녀는 '고향으로 돌아온 여자라는 뜻인데 병자호란 때 임금이 남한산성으로 피신했다가 결국 항복했다. 청나라 황제에게 세번의 굴욕적인 절을 하는 삼전도의 굴욕을 겪으면서 퍠배의 대가로 20만명이상의 수많은 조선 여자들이 포로로 청나라로 끌려갔다.

 

 

삼전도 굴욕의 삼배구고두례와 삼전도비 내용

[선녀들 32회 초반] 오늘의 탐사지: 삼전도비 앞 주제: 삼전도의 굴욕 조선 16대 왕 인조는 병자호란 항복 선언을 남한산성에서 한다. 그리고는.... 삼전도의 굴욕  14.2km의 반나절을 걸어 굴욕적인

jangane.tistory.com

 

그렇게 끌려갔던 여자 중에 죽을 각오로 도망쳐 고향으로 돌아오기 시작하는 여자들이 생긴다. 천신만고 끝에 꿈에 그리던 고향에 돌아왔는데 사람들의 반응은 환대는 고사하고  정조를 빼앗겨놓고 무슨 낮짝으로 고향에 돌아왔냐는 비난이 쏟아졌다.

 



말 그대로 '고향으로 돌아온 여자'라는 뜻이지만, 이 단어는 '오랑캐에게 더럽혀진 여자'라는 의미로 변질되어 이들을 비난하고 모욕하는 데 사용되었다. 사회 전반에 걸쳐 '정절을 잃었다'는 이유로 환향녀들은 심한 손가락질과 멸시를 받아야 했다. 많은 환향녀들이 이러한 사회적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우물에 몸을 던지거나, 나무에 목을 매거나, 은장도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심지어 일부는 다시 심양으로 돌아가는 길을 택하기도 했다. 돌아온 조선에서의 삶이 그들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고통스러웠기 때문이었다. 

 

특히 양반가 여성들의 상황은 더욱 비극적이었다. 남편이나 시댁으로부터 이혼을 강요당하는 일이 허다했다. 양반들에게 환향녀는 오랑캐에게 더럽혀져 가문의 명예를 더럽히는 '집안의 오점'으로 여겨졌다. 조상님께 제사를 올리는 데 있어서 정절을 잃은 여인이 참여할 수 없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던 것도 그들을 더욱 힘들게 했다. 그렇게 정조를 잃고 돌아온 여자를 가리켜 환향녀라고 불렀고 이것이 욕으로 변해 화냥녀, 화냥년이 된 것이다.

 

‼️인조는 환향녀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대책을 내놓는데... 이럴수가 !! 

 

 

홍은동 지명에 담긴 아픈 역사 : 인조의 환향녀에 대한 대책...

공녀: 강제된 조공이었다공녀는 약소국이 강대국에 여성을 바치는 조공 제도였다. 당시 힘의 불균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잔인한 관행이었다. 이렇게 바쳐진 여성들은 노비가 되거나, 궁녀로

jangane.tistory.com

 

 

 

인조, 병자호란 45일간의 기록 (법화골 전투)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31회] 오늘의 탐사지: 남한산성 주제: 병자호란 출연자: 김강훈 남한산성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 행궁-북문- 삼전 나루터 병자호란 배경 전쟁 이후 명나라는 국력이 쇠

janga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