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Internet Portal”의 어원
라틴어로 문이나 관문을 뜻하는 말이 포르타 porta 였다. 로마시대에 세금을 포르토리움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세금을 뜻하는 관세를 뜻하는 말로 포르타에서 유래한 말이다. 중세시대에는 프랑스를 거쳐 영어로 들어오면서 **“포탈 portal”**은 주로 성당이나 궁전의 웅장한 입구를 뜻하는 말로 쓰였다.
1990년대 인터넷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인터넷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웹사이트들이 생겼고, 이를 **“인터넷 포털”**이라 부르게 되었어요. 이들은 단순 검색엔진이 아니라, **뉴스, 날씨, 이메일, 게시판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한곳에서 제공하는 종합 관문(gateway)**이었어요. 미국의 야후(Yahoo!), MSN, AOL, 그리고 한국의 **네이버(Naver)**가 대표적인 초기 포털이죠.
결국 “인터넷 포털”은 정보와 서비스의 세계로 들어가는 현대의 ‘성문’ 같은 존재예요. 옛날 도시로 들어가는 문이 그 도시의 첫인상이었다면, 오늘날 포털 사이트는 인터넷 세계의 첫 관문인 셈이죠.
📌 관련 재미 팁:
한국의 대표 포털 **네이버(Naver)**는 1999년 설립 당시, 검색보다는 카테고리 중심의 디렉토리형 포털 구조였어요. 이는 당시 미국의 야후를 모델로 삼았기 때문이에요. 지금은 검색과 AI 기반 추천 시스템으로 진화했지만, 여전히 '포털'이라는 이름을 유지하고 있어요.
반응형
'별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토류는 무엇인가? (0) | 2025.07.08 |
---|---|
코알라의 비밀 유칼립투스를 먹는 유일한 동물 (0) | 2025.07.05 |
하와이 자연을 지키는 특별한 법 이야기 (0) | 2025.07.03 |
아메리카노 유래, 전쟁터에서 태어난 커피 (0) | 2025.03.24 |
원앙새의 진실 : 백년해로의 상징?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