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별 상식/역사이야기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삭발 의미 뜻 (불교용어 정리)

반응형

"마하반야바라밀!"
절에 가면 스님들이 외우는 경문이나 불교 관련 용어들이 어렵게 느껴질 때가 많다. 하지만 불교 용어는 한자와 산스크리트어(고대 인도어)에서 유래한 것이 많아 그 뜻을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지금부터 자주 쓰이는 불교 용어를 알아보자.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의미

-아미타불 (극락에 계신 부처)

-관세음 보살(대자 대비한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아미타불에게 이끄는 보살. )

-나무는 산스크리트어 namas 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귀의 즉 '믿고 의지한다'는 의미이다.  
특히 관세음 보살은 연민과 자비의 상징으로 손도 천개나 있고 소원을 들어주는 부처이다. 

*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에게 귀의한다는 뜻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

 

목탁의 역할은 염불의 음률을 위한 악기의 의미도 있고 여럿이 염불을 외울 때 신호, 지휘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목탁의 비트는 지방마다 다르다고 한다.

 



✔️스님의 삭발의 의미

스님들이 출가하면 반드시 지켜야 하는 사분율이라는 계률, 출가한 승려가 불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개요를 자세히 기록한 불교의 율적으로 총 60 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계률에 14, 29일 매달 보름과 그믐 전날에 함께 모여 삭발하게 한다.

 

 

삭발에 담긴 의미는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처음 출가할때 장신구를 시종에게 건넨 후 직접 삭발을 하며 이제부터 출가 수행자의 길을 가겠다는 상징의 의미와 번뇌를 덜어낸다는 수행적 의미가 함께 내포되어 있다. 서로 머리 삭발을 하는 것은 배움은 반드시 스승을 통해서 가르침을 받고 수행하라는 의미 

 

 

 

 


 

✔️ 비구
인도 중부지방 언어로 팔리어 비쿠의 음역을 그대로 따온 것으로 불교의 독신 남성 수행자를 이르는 말이다. 한국의 불교는 독신 수행자뿐만 아니라 가정을 꾸린 대처승도 존재하기 때문에 개방적인 한국불교지만 독신 수행을 원칙으로 하는 조계종도 있다. 한국 불교 내 250여 개 종파 종파만큼 다양한 수행의 형태가 존재한다. 
 

✔️법륜 

법의 수레바퀴로 부처님의 진리의 말씀을 수레바퀴가 굴러가듯이 널리 전하라. 당시 혼란스러운 세상을 정의롭게 다스려라는 의미의 정의와 진리의 수레바퀴이다. 

 

 

 

✔️불교의 기본 개념 용어

① 불(佛), 법(法), 승(僧) - 삼보(三寶, 세 가지 보배)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소를 뜻한다.

  • 불(佛, 부처님) : 깨달음을 얻은 사람(석가모니 부처)
  • 법(法, 가르침) : 부처님의 가르침(불경)
  • 승(僧, 스님들) : 수행하는 스님들(승려 공동체)

👉 불, 법, 승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불교 신앙의 기본이다.

 

② 열반(涅槃, Nirvana)

  • 번뇌와 집착을 완전히 벗어나 고요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
  • 부처님이 열반에 드셨다는 것은 더 이상 윤회하지 않고 해탈했음을 뜻함.
  • 예: "모든 집착을 버려야 열반에 이를 수 있다."

③ 해탈(解脫, Moksha)

  • 번뇌와 고통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
  • 열반과 비슷하지만, 해탈은 깨달음을 얻어 자유로워지는 상태를 강조한다.
  • 예: "그 스님은 오랜 수행 끝에 해탈을 이루셨다."

✔️불교의 세계관과 윤회

① 윤회(輪廻, Samsara) - 끝없는 생과 사의 반복

  • 죽고 다시 태어나는 생명의 순환.
  • 불교에서는 윤회를 벗어나 해탈하는 것이 목표.
  • 예: "악업을 쌓으면 다음 생에 더 고통스러운 윤회를 하게 된다."

② 업(業, Karma) - 원인과 결과의 법칙

  • 자신이 한 행동(말, 생각, 행위)이 미래의 결과를 만든다는 뜻.
  • 좋은 일을 하면 좋은 업(선업, 善業), 나쁜 일을 하면 나쁜 업(악업, 惡業)이 쌓인다.
  • 예: "이번 생에서 착하게 살아야 다음 생에 좋은 업을 받는다."

③ 사바세계(娑婆世界, Saha World) - 우리가 사는 현실 세계

  • 불교에서는 이 세상을 고통과 번뇌가 가득한 곳이라고 봄.
  • 반대 개념으로 극락세계(極樂世界)가 있다.
  • 예: "사바세계에서 고통을 이겨내야 한다."

④ 반야심경(般若心經, Prajnaparamita Hridaya Sutra) - 가장 많이 외우는 경전

 

 

색즉시공 공즉시색 뜻 쉽게 이해하기

이 문장은 불교의 핵심 철학을 담고 있는 **반야심경(般若心經)**에서 가장 유명한 구절이다.쉽게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1. 문자 그대로의 뜻색즉시공(色卽是空) → "형체(物質)란 곧 공(空)이다.

myvoice.wissue.net

 

불교 용어는 한자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것이 많아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뜻을 알고 보면 "깨달음, 수행, 자비" 같은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절에 가거나 불교 관련 문화를 접할 때, 오늘 배운 용어를 떠올려 보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