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의눈물금지곡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목포의 눈물 금지곡이 된 이유 1930년대는 사회 전반의 모든 것을 억압했던 일제였다. 조선 총독부는 1933년 음반 검열 관련 법령을 발표한다. 이제 발표된 목포의 눈물 (1935) 곡이다. 여전히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노래이다. 이 노래의 작사가 문일석은 목포 출신의 시인으로 목포의 명소들을 소재로 작사를 한 것이다. .............. 그런데 이 노래의 2절 가사가 문제가 되었다. '목포의 눈물' 가사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며 삼학도 파도 깊이 스며드는데 부두의 새악시 아롱젖은 옷자락 이별의 눈물이냐 목포의 설음 삼백 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 님 자취 완연하다 애달픈 정조 유달산 바람도 영산강을 안으니 님 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노래 삼백 년 원 품은 노적봉 밑에 라는 가사에서 삼백 년 전은 임진왜란 시기로 이순신 장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