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낮추는 방법 알아보기 (기준/원인/합병증 등)
고혈압이란?
고혈압은 증상이 없다. 뒷목 뻐근함은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근육 뭉침과 함께 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고혈압과는 관계가 없다.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이 무서운 이유는 90~ 95%는 원인이 없다. 무증상에 합병증이 있기 때문이다. 이 말은 나이가 들면서 탄력을 잃고 혈관이 점점 경직되는 현상으로 인해 혈압이 상승한다. 특히 가족력이 있으면 고혈압 위험성도 높아진다. 염분 섭취, 비만, 스트레스, 음주 등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질환이다. 증상은 전혀 없고 혈압을 무조건 재 봐야 알 수 있다. 고혈압은 발견이 안된 사람들도 많고 특히 젊은 층이 심각하다.

고혈압의 수치/기준
140/90mm Hg 이상으로 130/80mm Hg까지 낮춰줘야 된다. 건강한 사람도 주기적인 혈압 측정은 필수이다.
고혈압 합병증 5가지
- 뇌출혈, 뇌경색 등 심뇌혈관질환.
- 망막, 출혈 및 실명.
- 심장 비대 및 급사.
- 팔다리 등 말초 혈관 질환.
- 만성 신장 질환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평생 약을 먹어야 된다?
그렇지 않다. 약이 첫 번째 처방은 아니다. 생활요법 치료가 선행되어야 한다. 고혈압 치료는 중증 환자의 경우 약 복용+생활 요법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고 경계에 있는 환자는 생활요법 치료 6~8주를 선행한다. 그 후에도 계속적으로 혈압 수치가 높으면 약을 처방받는다.

생활 습관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절주와 체중 감소이다. 1KG감소당 혈압 1.1/0.9mmHg 감소되고 5kg 감소시 혈압은 5.5/4.5 mmHg 감소된다. 이것은 혈압 약 한달~하나 반에 해당되는 효과이다. 생활요법을 하지 않으면 알약 숫자가 높아진다.
허혈성 심장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이란? 심장 질환의 대표 질환으로 허혈성 심장 질환이 있는데 심근 경색+협심증이 이에 해당 된다해당된다. 허혈증이란? 피가 부족한 상태로 빌 허, 피 혈로 관상동맥이 좁
wissue.net
심부전 증상 치료방법 예방수칙 알아보기
심부전의 경우는 비싼 치료비 문제가 있다. 단일 질환 중 의료비 부담이 1위인 것이 심부전이다. 그 중에 4명중 3명은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게 되고 퇴원 후에도 입원과 응급실 방문의 악순환이
wissue.net